Video Production


보드게임1.jpeg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디지털성범죄 예방교육 D퀴즈 보드게임 활용법 영상

 

13-1.jpeg

[문화도시 영등포]
영등포문화라운지 따따따 시공영상

 

12-1.jpeg

[한국영상자료원]
2023 한국영화현장기록

 

11.jpeg

[에쓰-오일 사회공헌활동]
햇살나눔콘서트 실황 영상

 

231130_여성환경연대1.jpg

[여성환경연대]
에코페미니스트들의 컨퍼런스
"우리는 멸망하는 세계에서 틈새를 만든다"

 

10.jpeg

[경찰청]
2023 경찰청 인권주간 캠페인 영상

 

9.jpeg

[한국농인LGBT(준)]
2023 농인성소수자 찾아가기, 초대하기

 

8-1.jpeg

[여성역사공유공간 서울여담재]
여성인물 연구사업 (2021, 2022) 영상

 

7.jpeg

[사단법인 시민]
2023 비영리스타트업 쇼케이스 "비스오락실" LEVEL UP

 

6.jpeg

[부산국제영화제X한국영상자료원]
FORUM BIFF 2022
"가상의 제국, 영화가 되다" 포럼 영상

 

5.jpeg

[한국영상자료원]
딥.포토 플래이 II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

 

4.jpeg

[에쓰-오일 사회공헌활동]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 10주년 영상

 

3(0001).jpeg

[에쓰-오일 사회공헌활동]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지킴이 활동영상

 

2.jpeg

[문사기름집]
비건버터 BUT 레시피

 

1.jpeg

[서울시NPO지원센터]
비영리스타트업 피칭데이

 

[2022 문화도시 박람회 & 국제컨퍼런스]
문화도시 박람회 & 국제컨퍼런스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 예술가 되기 Being Noji Artist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 예술가 7명의 인터뷰
-박정근/노수영/이상홍/이선재/정은혜/한석현/박도연

 

[영화제 트레일러 2021]
제1회 매드영화제 Trailer

 

[영화제 개막식 영상 2021]
제1회 매드영화제 개막식 영상

 

[영화제 트레일러 2021]
제3회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Trailer

 

[영화제 트레일러 2021]
제13회 광주여성영화제 Trailer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창고의 세월을 그리다> Music Video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창고의 노래, 할망과 나> Music Video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삼춘 창고 전시 영상

 

[2021 서대문구 그린프로젝트]
<텀블러의 여행> Ep.1~8

 

[2021 로컬제로웨이스트 영상 시리즈]
<로컬 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Ep.1~10

 

[청년허브 청년업 2020]
“직업이 물었다, 너는 내가 마음에 드니?”

 

[청년허브 청년업 2020]
청년 직업실험 32팀 프로젝트 소개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전체 사업 아카이빙 영상 
: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
프로젝트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도시전환랩 프로젝트 20초 스팟

(지하철 배너 광고)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우리동네 다시 ‘봄’연구소 - 터치포굿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유어보틀위크와 함께하는 제로클럽 앱

- 보틀팩토리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리페어시티, 서울 - 인라이튼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도시광부, 커피찌꺼기를 캐내다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마을기술자들과 성대골 전환센터

- 성대골사람들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청계천과 에코팩토리 - 문화사회연구소

 

[서울시 전환도시과 2020]
도시전환랩 프로젝트 Trailer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제주, 예술, 요리 - 비건아트테이블

 

[국립재활원 2018]
"다시 세상으로 향하는 발걸음"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재난학교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커먼즈필드 제주 소통협력공간 Trailer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전체 스케치 :
제주시 소통협력공간 씨앗사업

 

[커먼즈필드 제주 2019]
라이프3.0 인문학 고은영 인터뷰

 

[커먼즈필드 제주 2019]
라이프3.0 인문학 강양구 인터뷰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쿰자살롱 - 다양성의 확인

 

[커먼즈필드 제주2019]
제주책방올레 마을여행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철새와 함께 놀멍 배우멍

 

[커먼즈필드 제주 2019]
돌하르방 놀러와수다! 예술아 노올자!

 

[커먼즈필드 제주2019]
씨앗사업 프로젝트 소개영상

 

[국립재활원 2016]
2016 주거개선 지원사업

 


보드게임1.jpeg
보드게임5.jpeg
보드게임4.jpeg
보드게임3.jpeg
보드게임2.jpeg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디지털성범죄 예방교육 D퀴즈 보드게임 활용법 영상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디지털성범죄 예방교육의 목적으로 "D퀴즈 보드게임"을 개발했습니다.

< D퀴즈 보드게임 >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게임의 참여자들은 '치료사', '연대자', '정찰대', '보호자' 등의 역할을 맡아 디지털성범죄와 관련하여 주변인이 해야할, 혹은 하지말아야 할 행동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A.3355는 < D퀴즈 보드게임 >의 사용설명서에 해당하는 활용법 영상을 맡아 제작하였습니다.


출연 : 유수현, 윤보미, 장진석
기획제작 : A.3355
녹음 : 보이스위즈
©A.3355

[문화도시 영등포]
영등포문화라운지 따따따 시공영상

 

 

문화도시 영등포 : 2022년 서울시 유일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되어 영등포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도시수변문화, 예술안심문화, 상호협력문화, 융복합문화 등 가치를 지향하며 다채로운 이야기를 만들고 확산하기 위해 앞장서고 있다.


‘문화라운지 따따따’는 영등포의 문화소식을 더욱 많은 시민이 보고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된 ‘문화도시 영등포’의 열린 복합문화공간이다.



A.3355는 관광안내소로 이용되던 기존공간을 철거부터 완공까지 전과정을 타임랩스를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였고 숏폼형태의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
12-1.jpeg
12-2.jpeg
12-3.jpeg

[한국영상자료원]

2023 한국영화현장기록 ​(영상, 사진, 구술기록)

 

 

한국영상자료원은 사라지고 있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한 한국영화의 현장들, 그리고 현재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공간들을 기록을 체계적으로 생산, 보존하고자 한다.



A.3355는 2023년 사업을 맡아 대상지 선정부터 기록물 생산까지 전담하였으며 5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영상자료원의 상암본원과 파주보존센터를 비롯 아트나인, 광주극장, 강릉씨네마떼끄 신영, 라이카시네마, 씨네큐브 등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했다.
©A.3355

[에쓰-오일 사회공헌활동]
​햇살나눔콘서트 실황 영상

 

 

에쓰-오일은 2009년부터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발달장애인들로 구성된 '하트하트오케스트라'를 후원하고 있다.

A.3355는 2023년 4월 18일 서울 마포구 위치한 에쓰-오일 본사에서 열린 제15회 하트하트오케스트라의 햇살나눔콘서트를 기록하여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 여성환경연대 / A.3355

[여성환경연대]
에코페미니스트들의 컨퍼런스
"우리는 멸망하는 세계에서 틈새를 만든다"

 

 

7회째를 맞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컨퍼런스. "우리는 멸망하는 세계에서 틈새를 만든다"는 제목, 홍승은 작가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A.3355는 현장에서 촬영하고 편집하여 5편의 발표 영상을 제작하였다.
장이정규 | 기후우울의 파도타기
좋아은경 | 버려지는 세상에서의 예술
정은혜 | 숲과 바다와 마음의 연결
10.jpeg
10-1.jpeg

[경찰청]
경찰청 인권주간 캠페인 홍보영상

 

 

2023년 경찰청에서 이뤄진 인권주간 행사를 통해 경찰 내부의 인권의식을 함양하고자 캠페인 영상을 기획하였다. 


A.3355는 캠페인 영상을 의뢰받아 동료시민으로서의 경찰을 주체인 동시에 객체로서 바라보고 모두의 인권을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의 영상을 제작했다.
©A.3355

[한국농인LGBT 설립준비위원회]
농인성소수자 찾아가기, 초대하기 프로젝트 영상

 

 

한국농인LGBT 설립준비위원회는 지난 2023년 11월~12월 약 한달 간 한국농인LGBT+는 "농인성소수자 찾아가기, 초대하기"라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그 중 “농인성소수자 초대하기"라는 인권 영역 한국수어영상 콘텐츠와 카드뉴스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했다. 그에 이어 2023년 실태조사보고서를 통해 농인성소수자와의 대화를 제안하였다. 

A.3355는 자체 스튜디오 공간에서 수어로 진행된 교육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여 영상으로 다섯 가지 주제별 영상과 실태조사보고서 영상을 제작하였다.
.
Phasellus vulputate dui sit amet ante eleifend 15/C 1945 facilisis
Mauris sit amet magna tincidunt, luctus enim ac, aliquet metus
Phasellus vulputate dui sit amet ante eleifend 15/C 1945 facilisis
Mauris sit amet magna tincidunt, luctus enim ac, aliquet metus
8-1.jpeg

[여성역사공유공간 서울여담재]
서울여담재 여성인물 연구사업 (2021, 2022)

 

 

서울시 여성역사공유공간 서울여담재는 한국사회에 다양한 활동으로 기여해온 여성인물 연구사업을 진행해왔다. 

A.3355는 2021년, 2022년에 진행된 인터뷰 영상을 모아 전시형태의 영상을 제작하였다.
©A.3355

[사단법인 시민]
비영리스타트업 쇼케이스 《비스5樂실 LEVEL UP》

* 재생목록 (영상 8편 순차 재생)

 

비영리스타트업 쇼케이스 《비스5樂실 LEVEL UP》
 2023. 2. 23.(목) 15:00~17:00, 카페 히브루스


비영리스타트업 성장지원 사업은 사단법인 시민이 진행하고 있는 ‘비영리생태계 파이프라인 강화 사업’의 일부로, 비영리 신생 조직을 발굴하여 맞춤형 도약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2년 서울시NPO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은 12개 팀 중 ▲구구컬리지 ▲늘픔가치 ▲도담 ▲아미다해 ▲아이즈, 최종 5개 팀이 선정되어 1,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며 지난해 9월부터 공익활동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습니다.


A.3355는 다섯 참여팀의 활동과 발표를 영상으로 제작했다.
©A.3355

[부산국제영화제 X 한국영상자료원]
​FORUM BIFF 2022
​"가상의 제국, 영화가 되다" 포럼 영상

 

 

부산국제영화제는 지석영화연구소를 중심으로 영화제 기간 중 포럼 비프(Forum BIFF)를 개최합니다. 
포럼 비프는 영화를 매개로 다양한 지적 소통과 생산의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영화의 여러 부면들을 다각적 방법으로 탐구하고 비평, 창작, 산업, 운동 등 여러 실천양식과 영화를 매개하며, 학자에서 대중 관객에 이르는 다양한 지적 주체들이 영화를 향유하는 계기가 되고자 합니다.
A.3355는 “가상의 제국, 영화가 되다”라는 주제로 열린 VFX를 중심으로 한 FORUM BIFF 2022의 영상 제작과 사진 기록을 맡아 진행하였다.
5.jpeg
5-1.jpeg

[한국영상자료원]
딥.포토 플래이 II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

* 영상 비공개

 

"딥.포토플레이 Ⅱ: 휴먼X인공지능 공동 예술창작 프로젝트"

인간, 인공지능 간 협업 창작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무성영화 반주 음악 작곡 연구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2021년 프로그램 < 딥.포토플레이: 휴먼X인공지능 공동 예술창작 프로젝트 >의 후속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자리로, 2019년 한국영상자료원이 발굴한 무성영화 <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 >(이규설, 1920년대)를 소재로 작곡한 영화 음악 및
변사 공연을 선보이고, 연구 과정을 공유합니다.



A.3355는 한국영상자료원 3관에서 변사+연주+영화상영으로 이뤄진 공연을 기록하여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관련 자료 (한국영상자료원 홈페이지)
https://www.koreafilm.or.kr/museum/educations/EI_00274
4-2.jpeg
4-1.jpeg

[에쓰-오일 사회공헌활동]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 10주년기념 활동보고영상

* 영상 비공개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은 S-OIL이 기업 이윤의 사회적 환원 차원에서 출연한 사회공헌기금으로 기초과학분야 학술지원 사업을 통해 차세대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우수 인재를 지원해 왔다. 주요 사업으로 매년 우수학위논문상 시상식을 열어 물리·화학·수학·생물학·지구과학·IT 등 6개 기초과학 분야에서 국내 대학에 제출된 박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우수 연구자를 선정해 연구비를 후원하고 있다. 



A.3355는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의 10년간의 활동 자료를 모아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A.3355

[에쓰-오일 사회공헌활동]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지킴이 활동 영상

 

 

S-OIL의 후원금은 관심과 후원이 필요한 수달∙두루미∙어름치∙장수하늘소·남생이 등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5종의 보호 활동에 쓰인다. 
S-OIL은 환경 분야에 관심을 갖고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하여, 2008년부터 17년간 천연기념물 지킴이 보호활동을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A.3355는 오랜 기간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보호활동을 벌이고 있는 단체들을 찾아가 그동안의 활동을 영상으로 기록했다.
©A.3355

[문사기름집]
비건버터 BUT 레시피 영상

 

 

“식물들의 기름을 바탕으로 일상의 맛과 향을 책임지는 비건 제품을 만듭니다.문사수의 태도로 제주에서 수제작하며,비건적 삶을 연결합니다.”



A.3355는 문사기름집의 비건 버터를 이용한 다양한 레시피 영상을 제작하였다.
©A.3355

[서울시NPO지원센터]
비영리스타트업 피칭데이 영상

 

 

서울시NPO지원센터는 공익 가치 확산과 비영리 생태계의 확장을 위해 공익활동 초기 단계 팀을 지원하는 비영리스타트업 육성사업(이하 육성사업)을 추진하였다.



A.3355는 비영리스타트업 육성사업에 선정된 11개 팀의 활동내용과 발표를 촬영하고 편집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A.3355

[2022 문화도시 박람회 & 국제컨퍼런스]
문화도시 박람회 & 국제컨퍼런스

 

 

문화체육관광부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전국문화도시협의회, 지역문화진흥원과 함께 2022년 10월 26일(수)부터 29일(토)까지 제1차 문화도시 서귀포시의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2 문화도시 박람회 &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모든 도시는 문화로 특별하다’를 주제로, 전국 18개 문화도시가 고유의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을 확산하고 문화를 통해 이룬 지역발전 성과 등을 공유하였다. 아울러 세계적인 문화도시 간 교류를 통해 새 정부 문화도시 정책의 미래전략도 모색하였다.
 
 A.3355는 박람회와 국제컨퍼런스의 스케치 영상과 사진기록을 맡아 진행했다.

제작 | A.3355
©A.3355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되기 Being Noji Artist

 

 

 '노지예술프로젝트'는 서귀포 노지 문화의 중요 요소인 마을을 거점 삼아 ‘머무르기’를 통해 서귀포 노지 예술의 형식과 내용을 구성해가기 위해 마련된 실천적 예술프로젝트입니다.
 창작집단3355는 박정근, 노수영, 이상홍, 이선재, 정은혜, 한석현, 박도연  7명의 노지예술가를 만나 그들의 작업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이들이 노지예술가가 되는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했습니다.

제작 | 창작집단3355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1. 박정근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2. 노수영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3. 이상홍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4. 이선재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5. 정은혜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6. 한석현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7. 박도연 작가

[2021 노지예술프로젝트]
노지예술가 인터뷰
- 박정근 / 노수영 / 이상홍 / 이선재 / 정은혜 / 한석현 / 박도연

 

 

'노지예술프로젝트'는 서귀포 노지 문화의 중요 요소인 마을을 거점 삼아 ‘머무르기’를 통해 서귀포 노지 예술의 형식과 내용을 구성해가기 위해 마련된 실천적 예술프로젝트입니다.
 창작집단3355는 박정근, 노수영, 이상홍, 이선재, 정은혜, 한석현, 박도연  7명의 노지예술가를 만나 그들의 작업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이들이 노지예술가가 되는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했습니다.

제작 | 창작집단3355

©A.3355

[영화제 트레일러]
제1회 매드영화제 Trailer

 

 

 정신다양성 예술축제 '매드프라이드'의 연계 축제로 제1회 매드영화제가 열렸습니다.
 창작집단3355는 영화제의 프로그래밍을 맡고, 트레일러 영상, 유튜브 라이브스트림으로 진행한 개막식 토크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제작 | 창작집단3355
연출 | 김문경
촬영, 편집 | 허성
출연 | 임혜원

©A.3355

[영화제 개막식 영상]
제1회 매드영화제 개막식 1부 & 2부

 

 

 정신다양성 예술축제 '매드프라이드'의 연계 축제로 제1회 매드영화제가 열렸습니다.
 창작집단3355는 영화제의 프로그래밍을 맡고, 트레일러 영상, 유튜브 라이브스트림으로 진행한 개막식 토크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제작 | 창작집단3355
연출 | 김문경, 허성
각본 | 정성만
촬영 | 허성, 심효원, 박강아름, 이은솔
편집 | 허성

©A.3355

[영화제 트레일러]
제3회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Trailer

 

 

 2021년으로 3회를 맞은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는 종교영화라는 틀을 깨는 실험적인 영화제로 다양한 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영화제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창작집단3355는 2020년 온라인으로 열렸던 2회 영화제의  개막식 생중계 및 토크영상을 제작한 데 이어, 오프라인 축제로 열린 3회 영화제에서는 트레일러 제작으로 참여했습니다.

제작 |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창작집단3355
연출 | 장다나
촬영, 편집 | 허성

©A.3355

[영화제 트레일러]
제12회 광주여성영화제 Trailer "선을 넘다"

 

 

제12회 광주여성영화제의 트레일러 "선을 넘다"

제작 | 창작집단3355
연출, 출연 | 박강아름
촬영 | 박강아름, 정성만
편집 | 박강아름, 허성
믹싱 | 임나윤
색보정 | 허성

©A.3355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 창고의 세월을 그리다 > 
Music Video

 

 

제주 선흘 할머니들의 창고에 예술학교가 열렸습니다.
'할머니의 예술창고'에 참여한 삼춘들과 볍씨학교 청소년들의 활동을 담은 영상으로, 볍씨학교 김동희 선생님과 학생들이 직접 만들고 부른 노래 < 창고의 세월을 그리다 >의 뮤직비디오입니다.
©A.3355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 창고의 노래, 할망과 나 > 
Music Video

 

 

제주 선흘 할머니들의 창고에 예술학교가 열렸습니다.
음악가 Deja Vu 의 < 창고의 노래, 할망과 나 >는 '할머니의 예술창고'에 참여한 삼춘들의 창고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곡으로 한국의 뽕짝과도 비슷한 느낌을 주는 포르투갈의 '파두'라는 장르로 만들어졌습니다.
[크리에이터링크] 1시간 만에 직접 홈페이지 만들기!
[크리에이터링크] 1시간 만에 직접 홈페이지 만들기!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2021 할머니의 예술창고 - 삼춘 창고 전시 영상

 

 

제주 선흘 할머니들의 창고에 예술학교가 열렸습니다.
'할머니의 예술창고'에 참여한 삼춘들의 창고를 기록한 영상입니다.
[텀블러의 여행] 1. 까페 여름
[텀블러의 여행] 2. 페이퍼넛츠
[텀블러의 여행] 3. 어뮤즈그라운드
[텀블러의 여행] 4. 디어얼스
[텀블러의 여행] 5. 협동플랫폼 까페 이웃
[텀블러의 여행] 6. 양파마켓
[텀블러의 여행] 7. 경성참기름집
[텀블러의 여행] 8. 이 세계는 놀이터예요

[2021서대문구 그린프로젝트 제로웨이스트 영상 시리즈]
< 텀블러의 여행 > Ep.1~8

 

 

"텀블러의 여행 - 우리동네에는 이상한 가게가 있다 "시리즈는서대문구 마을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제로웨이스트 실천 가게들을 숏폼 콘텐츠로 만나 보는 2021 창작집단3355(A.3355)의 로컬제로웨이스트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남이동길 커뮤니티스토어 함께가게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서대문생협'에서 2만원으로 장보기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플라스틱 업사이클 전시 '플라스티끌'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자원손환 체험교육 "Eco-피플" 1/2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자원손환 체험교육 "Eco-피플" 2/2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슬기로운 자전거 생활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백련시장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경복상회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아이스팩 처리하기
[로컬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영천시장

[2021 로컬제로웨이스트 영상 시리즈]
< 로컬 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 Ep.1~10

 

 

"로컬 제로웨이스트 in 서대문" 시리즈는내가 사는 동네, 로컬 단위에서부터의 제로웨이스트를 얘기하려는 시도로서창작집단3355(A.3355)가 지역의 다른 단체 및 그룹들과 함께 의논하며 ‘동네’와 ‘제로웨이스트’를 긴밀히 연결하는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시리즈는 모습을 달리 하여 2022년에 지속될 예정입니다.

©A.3355

[청년허브 청년업 2020]
“직업이 물었다, 너는 내가 마음에 드니?”

 

 

서울시 청년허브에서 2020년 진행한 청년직업실험지원 청년업의 참여자 인터뷰 영상. “좋아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고, 지금까지 없었던 길을 새롭게 만들어가는 일 등 자신만의 업(業)을 만들어가는 청년들의
시도를 지원하는” 서울시 청년허브 청년 직업실험 지원사업의 참여자들과 ‘일’과 ‘직업’에 대해 물어보았다.

©A.3355

[청년허브 청년업 2020]
청년 직업실험 32팀 프로젝트 소개

 

 

2020년 “청년업” 사업을 통해 ‘가업’, ‘덕업’, ‘전업’이라는 카테고리로 만난 청년들의
32가지 직업실험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본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전체 사업 아카이빙 영상 :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 프로젝트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도시전환랩 프로젝트 20초 스팟 (지하철 배너 광고)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지하철 배너 광고용 20초 스팟 영상.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우리동네 다시 ‘봄’연구소 - 터치포굿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유어보틀위크와 함께하는 제로클럽 앱 - 보틀팩토리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리페어시티, 서울 - 인라이튼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도시광부, 커피찌꺼기를 캐내다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마을기술자들과 성대골 전환센터 - 성대골사람들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도시전환랩 2020]
청계천과 에코팩토리 - 문화사회연구소

 

 

“서울시가 만들어가는 “도시전환랩”은 자원순환, 에너지, 먹거리 등 새로운 방향(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쓰레기, 탄소 배출, 자원 부족, 값싼 노동력 의존성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단위의 자족성을 키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A.3355


[서울시 전환도시과 2020]
도시전환랩 프로젝트 Trailer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제주, 예술, 요리 - 비건아트테이블

©A.3355


[국립재활원 2019]
국립재활원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재난학교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커먼즈필드 제주 소통협력공간 Trailer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전체 스케치 : 제주시 소통협력 공간 씨앗사업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라이프3.0 인문학 고은영 인터뷰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라이프3.0 인문학 강양구 인터뷰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쿰자살롱 - 다양성의 확인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제주책방올레 마을여행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철새와 함께 놀멍 배우멍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돌하르방 놀러와수다! 예술아 노올자!

©A.3355


[커먼즈필드 제주 2019]
씨앗사업 프로젝트 소개영상

©A.3355


[국립재활원 2016]
2016 국립재활원 주거개선지원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