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간 몸담았던 환경단체에서 나와 혼자가 된 베테랑 환경운동가 금자는 동네에서 새로운 친구들과 알맹상점을 시작한다.
강원도 양양의 죽도해변, 서핑 붐으로 북적이는 해변가에서 조금 떨어진 국도변 허름한 창고 에 이상문의 서프보드 공장이 있다. 눈 내리는 겨울 상문은 건축용 각목으로 ‘송어’라는 이름 의 보드를 만들고 있다.
울산에서 조선소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난 상문과 나는 20대 중반 서핑에 빠졌다. 상문은 졸업 과 제대 후 저축을 털어 인도네시아와 호주로 떠난다. 농장과 식당 등 가리지 않고 여러 일을 하며 파도를 타고 서프보 드를 만드는 것에 몰두했다. 나이가 차고 해외에서의 생활을 지속하 는 것이 어려워지자 귀국하여 강원도 양 양에 정착하게 되었다. 서핑과 서프보드에 매진한 시 간만큼 상문은 한국 서핑씬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갖게 되었고 많은 진지한 서퍼들로부터 신뢰 받는 서퍼/셰이퍼가 되었다.
하지만 그것이 경제적인 형편을 나아지게 하지는 못했다. 휴가철의 화려함 뒤에 가려진 양양 의 생활은 녹 록치 않다. 월세는 곧잘 밀리고 통장잔고는 늘 아슬아슬, 고추창고를 빌려 개조 한 공장은 비가 샌다. 보드 를 만드는 일이 좋지만 더 많은 시간을 생계를 위한 수리와 강습에 할애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돈을 많이 벌거나 사업을 확장하는 것에 관심이 없는 상문의 형편 은 나아질 기미를 찾기 어렵다. 그나마 늦은 오후 작 업을 마치면 파도를 타고 새로운 보드를 구상하는 삶이 나쁘지 않다.
바쁜 여름이 지나고 겨울이 오면 조금은 낭만적인 시간이 온다. 화려하게 불을 밝히던 서프샵 들은 문을 닫 고 고요해진 바다엔 여름보다 크고 힘센 파도가 밀려오기 시작한다. 수입은 적어 지지만 그만큼 자신을 위한 시간이 더 주어진다. 겨울 양양에 함께 남은 친구들과 차갑고 고요 한 자연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난로재가 날리는 사고로 작업중이던 보드를 망치고 평창올림픽 알바도 취소되어 재료 살 돈 조차 남지 않은 상문은 건축용목재로 서프보드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한다. 나무로 보드 를 만들겠다는 계획은 고 난을 불러오고 수리일도 밀리는 와중에 작업은 한없이 늘어진다. 반갑지 않은 명절, 고향인 울산에 내려간 상문은 가족들을 만난다. 아버지 이윤우는 아직도 조 선소에서 일 한다. 근면한 삶에 대해 강조하는 부모는 정규적인 직장도 없고 결혼도 감감무소 식인 상문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 부모가 상문에게 말하는 책임감은 가정을 꾸리고 부양하는 것이지만 상문은 파도를 더 잘 타고 잘 느 낄 수 있는 보드를 만드는 일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 다. 나무 서프보드라는 세상의 효율과는 동떨어진 무용 한 것에 몰두하고 있는 상문의 삶은 무 엇을 향해가고 있는 것일까?
상문이 깎는 나무 보드는 한 달이 넘어서야 완성되어 겨울파도를 타게 되지만 상문은 만족하 지 못한다. 수 리와의 병행, 긴 작업기간, 잘못된 소재선택 등이 후회가 되지만 좋은 경험이 되 었다.
다시 봄이 오고 상문에게 좋은 일들이 연이어 찾아온다. 상문을 따르는 친구들의 도움으로 더 쾌적한 곳으 로 공장을 옮기고, 세계최고의 셰이퍼 중 하나인 밥 맥타비시와 함께 보드를 만들 기회가 생긴다. 새 공장 에서 한국을 방문한 맥타비시와 함께 보드를 만들면서 상문은 다시 새 로운 보드를 만들 영감을 얻는다.
올림픽과 세계대회 같은 것들과는 동떨어진 또다른 서핑의 세계에서 상문은 온전히 파도와 자 신만을 바라 보며 새로운 보드를 만들어낸다. 더디지만 조금씩 상문의 삶은 충실하게 나아가 고 있다. 상문처럼 세상의 큰 흐름에서 벗어나 살고 있는 서퍼 친구들과 함께 가장 크고 강한 파도를 탄다.
당신의 ‘송어’는 무엇입니까?
이상문과 내가 자란 공업도시 울산은 ‘일하는 도시’로 유명하다. 현대중공업이라는 대기업의 그늘 속에서 자랐다. 우리가 알던 바다는 거대한 쇠붙이를 띄우는 공간이었을 뿐이었다. 그 속 에서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우리는 90년대 말 부흥했던 팝 문화에 매료되어 있었다. 유선방송 을 통해 본 MTV의 뮤직비디오들을 통해 많 은 것들을 접했고 그 중 하나가 서핑이었다. 서핑 은 우리에게 완전히 새로운 바다를 보여주었다.
대학생이었던 2005년 상문과 나는 처음으로 파도 위를 미끄러지는 경험을 했고, 2010년에 는 좋은 파도를 찾아 모아둔 돈을 털어 인도네시아로 함께 떠나기도 했다. 영화라는 다른 열망 이 있었던 나와 달리 상문의 머릿속엔 오로지 서핑만이 남게 되었다. 상문이 이주노동으로 호 주와 인도네시아 등을 전전하던 때부터 한 국으로 돌아온 지금까지 몰두한 것이라고는 서핑과 서프보드를 만드는 것뿐이다. 나 역시 30대가 되었고 아 직도 영화를 만들고 있다. 여전히 ‘직 업은 있으나 직장은 없는’ 삶을 살고 있으며 나이든 부모의 최후의 근 심이다.
서핑이나 영화 따위에 골몰하고 있는 것은 이른바 ‘88만원세대’에 속하는 우리로서는 부유한 부모를 가지지 않고서야 쉽게 선택할 수 없는 길로 보이겠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상문도 나 도 중산층에는 못 미치는 집 안에서 자라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자립했고 온갖 알바를 섭렵 하며 20대와 30대의 절반을 겨우 살아냈다.
역시나 어떤 불안은 늘 떠나지 않는다. ‘이렇게 계속 살아도 되는 것일까?’, ‘제대로 된 직업을 가져야하는 것이 아닐까?’ 이상문 또한 마찬가지다. 서프보드를 만드는 것이 직업인 지금도 보드를 만드는 일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할 수 없고 강습 알바나 수리 일을 마다할 수 없다. 규 모의 경제 안에서 ‘열심히 일하면 잘 살 수 있었던’ 부모세대로서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그 사이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은 희미해져버렸고, 번듯 한 직장에 다니는 친구도 언제쯤 그만 두고 치킨장사를 하게 될까하는 반 농담을 한다. 그러다보니 언젠가부 터 ‘어차피 불안한 건 마찬가지’라 생각하게 되었다. 경쟁과 생존 자체에 매달리기 보다는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지속 가능한 삶의 균형을 찾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비단 상문과 나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 이다.
불안을 잊기는 쉽지 않지만 우리는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있다고 믿는다. 이상문이 월세와 대출금에 시 달리면서도 팔릴지 안 팔릴지도 모르는 보드를 꾸준히 깎고, 새로운 디자인을 실 험하며 점점 나아지고 멋진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것을 보고 있으면 앞으로도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그걸 나만 보고 느끼기 아깝다는 생각이 시작이었다. 상문 과 나, 그리고 또 다른 나의 친구들 모두 각각 다른 자 리에서 각자의 불안과 싸우고 있을 것이 다. 우리가 처한 상황과 우리가 하고 있는 노력과 추구하는 바를 성 실하게 기록하고 드러낼 수 있다면 상문의 삶이 내게 그랬던 것처럼 각자의 ‘송어’를 깎아가는 과정에 조금 의 응원이 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Trailer AREUM MARRIED
PARKKANG Areum’s adventure into married life leads to the discovery of her intrinsicdesire to have a normal family.
Evenwhen she’s far away from Korea, she’s chased by its patriarchal and marriagesystem.
What does marriage mean?
< 박강아름 결혼하다 > 메인 예고편
“일도 사랑도 다 가지고 싶어!” 의욕 충만 아름
“아름이 하고 싶은 거 다 해!” 사랑 하나만 믿고 떠난 로맨티스트 성만
오직 의욕과 사랑만 가지고 프랑스로 떠나다!
그들이 마주한 현실은 학업, 생활비, 육아, 가사 노동…
우리는 왜 결혼했을까?
결혼, 도대체 뭘까?
에펠탑 아래에서 시작된 아름♥성만의 좌충우돌 결혼살이 START!-
감독: 박강아름- 출연: 박강아름, 정성만
제작/제공: 창작집단3355(A.3355)
공동제공/배급: 영화사진진
2021년 8월 19일 대개봉!
< 박강아름 결혼하다 > 30초 예고편
영화감독 아름은 첫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중에 진보정당 활동가이자 요리사인 성만을 만나 결혼한다. 아름은 결혼 후, 본인이 오랫동안 준비한 프랑 스 유학행에 성만도 데리고 떠난다. 프랑스에서 할 수 있는 것이 가사 노동 밖 에 없는 불어 까막눈 성만은 주부우울증에 빠지고, 아름은 공동 생활의 경제와 행정 업무를 책임진 상태에서 임신을 한다. 아름은 우울한 성만을 위해 정해진 날에만 집에서 요리하고 손님을 받는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둘은 '외길식당'이 라고 이름을 붙인다. 하지만 출산 후 아름이 본격적으로 학업과 영화 작업에 집 중하면서 성만의 독박육아는 더 심해지고 둘은 더 격하게 싸운다. 결국 성만은 파업을 선언한다. 아름의 결혼도 영화도 이대로 잘 갈 수 있을까?
While working on her first documentary film, director Areum meets aprogressive party activist and a chef, Seongman, and gets married. Aftergetting married, she takes Seongman with her to study in France, which she has longbeen preparing to do. In France, the only thing Seongman can do is housework.Not being able to read or speak the language leaves Seongman in depression, whenAreum, the one responsible for their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duties, getspregnant. In order to help Seongman get over his depression, Areum suggest theystart running “Oegil Restaurant”, a project to cook and serve to a limitednumber of guests on specific days. But after the birth of their baby, Areumstarts concentrating on her studies and filmmaking, leaving Seongman alone inparenting. This leads to frequent aggressive fights, and Seongman declares astrike. Will Areum be able to juggle both her marriage and her film?
남편을 데리고 프랑스로 떠난 82년생 박강아름이 고백과 성찰을 통해 스스로 에게 던지는 질문,
나는 왜 결혼했을까? 결혼, 도대체 뭘까.
PARKKANG Areum, born in 1982, leaves for France with her husband.
Throughher confessions and self-reflection, she questions herself, “Why did I getmarried?” and “What does marriage mean anyway?”
프로듀서 | 김문경
감독 | 박강아름
구성 | 박강아름, 김문경
촬영 | 박강아름 허성
편집 | 박강아름
음악 | 이랑, 이대봉
Production | A.3355
Sales Company | Undefined
Director | Areum PARKKANG
Producer | Moonkyung KIM
"The form is lo-fi and personal like a diary in the Korean Areum's captivating film about gender roles, bodies and femininity, with her own family life as the raw material" - 2020 CPH:DOX
https://en.cphdox.dk/programme/areum-married?fbclid=IwAR0Ri7pM2NJofixERuBueZz9Aiko8-vZogsYUUEjcWK_4AWHYfg_ZZ468uk
"Korean director Areum Parkkang throws a few punches at gender roles in this honest and charming look at her own marriage" - 2020 Doxa Documentary
https://doxa2020.eventive.org/films/areum-married-5ecb494d11244f007f9f6556
"Areum lets us participate head-on in her back and forth as an independent filmmaker between festival pitchings, homesickness and the baby change unit." - 2020 DOK Leipzig
https://www.dok-leipzig.de/en/film/areum-married/programm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about an artist dealing with issues like family, career and home within the context of the complexities of modern life" - Asian Movie Pulse (Rouven Linnarz)
https://asianmoviepulse.com/2020/11/documentary-review-areum-married-2019-by-areum-parkkang/
“¿Por qué no consigo novio? ¿por qué me casé?” - Caligari (Sofía Ferrero Carrega)
ttps://caligari.com.ar/areum-married-2020-de-areum-parkkang/
2021 제42회 더반 국제 영화제, 다큐멘터리 공식 경쟁 (더반,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0 제18회 욕야카르타 다큐멘터리 영화제, 국제 장편 경쟁 (욕야카르타, 인도네시아)
2020 제63회 독 라이프치히, 관객 경쟁 골든 섹션 (라이프치히, 독일)
2020 제9회 다람살라 국제 영화제 (다람살라, 인도)
2020 제8회 디아스포라영화제, 디아스포라 인 포커스 (인천, 한국)
2020 제11회 익산여성영화제 (익산, 한국)
2020 제8회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어른들을 부탁해 (서울, 한국)
2020 제2회 평창국제평화영화제, K스펙트럼 (평창, 한국)
2020 제19회 독사 다큐멘터리 영화제 (벤쿠버, 캐나다)
2020 제11회 코펜하겐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넥스트:웨이브 어워드 (코펜하겐, 덴마크)
2019 제45회 서울독립영화제, 특별초청 (서울, 한국)
2019 제8회 광주여성영화제 (광주, 한국)
2019 제10회 대구여성영화제 (대구, 한국)
2019 제2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서울, 한국)
2021 42nd Durb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ficial Selection Documentary (Durban, South Africa)
2020 18th Festival Film Dokumenter, International Feature-length Competition (Yogyakarta, Indonesia)
2020 63rd DOK Leipzig, The Golden Section Competition for the Audience Award (Leipzig, German)
2020 9th Dharamshal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Dharamshala, India)
2020 8th Diaspora Film Festival, Diaspora in Focus (Incheon, South Korea)
2020 11th Iksan Women’s Film Festival (Iksan, South Korea)
2020 8th Seoul Guro International Kids Film Festival, Eyes on Grown-up (Seoul, South Korea)
2020 2nd Pyeongchang International Peace Film Festival, Spectrum K (Pyeongchang, South Korea)
2020 19th Doxa Documentary Film Festival (Vancouver, Canada)
2020 11th CPH:DOX, Next:Wave Award (Copenhagen, Denmark)
2019 45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Special invitation (Seoul, South Korea)
2019 8th Women’s Film Festival in Gwangju (Gwangju, South Korea)
2019 10th Daegu Women’s Film Festival (Daegu, South Korea)
2019 21nd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Documentary Ock Rang Award Film (Seoul, South Korea)
2020 제8회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Gukiff 프렌즈상(관객상) (서울, 한국)
2018 제20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서울, 한국)
2020 8th Seoul Guro International Kids Film Festival, GUKIFriends Award(Audience Award) (Seoul, South Korea)
2018 20th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Documentary Ock Rang Award (Seoul, South Korea)
인도네시아 파푸아 주 비악 섬의 음악과 춤을 다룬 단편 다큐멘터리. 네덜란드-일본-인도네시아로 이어지는 식민지 역사 속에서도 이어져오고 있는 비악 섬의 전통 음악과 춤에는 신과 자연에 대한 찬양 뿐 아니라 민족의 역사의 흔적 또한 남아있다.
에스닉한 이미지를 소비하는 대신 그 속에 담긴 비악의 역사와 삶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파푸아의 작은 섬 비악의 삶과 문화
인도네시아 파푸아 주의 작은 섬 비악은 뜨거운 열대의 에너지가 가득한 곳으로 세계경제에서는 다소 유리되어있으나 태생적 풍요를 누리고 있다. 그러한 비악은 아주 오랜 기간 네덜란드의 식민지였고, 그 후 세계대전을 겪는 동안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였으며, 현재 비악이 속해 있는 인도네시아와의 관계에서 역시 식민지성을 가지고 있다. 그 유무형의 흔적은 섬과 마을 곳곳에, 또 언어와 생활양식에 새겨져있다. 겹겹이 쌓여있는 여러 층위의 문화들은 비악의 오랜 관습이나 전통과 함께 상호작용하며 비악인들의 삶 속에 공존해왔다. 전경수교수와 일행은 비악의 옛 중심지인 바닷가 마을 소르로 들어가 함께 생활하며 그 흔적들을 살펴보고 참여관찰의 방식으로 그들의 삶을 배운다.
The small island of Biak in Papua, Indonesia is a place full of energy in the hot tropics. Biak has been a colony of several countries for hundreds of years, and the vestiges of colonialism are engraved all over the island, villages, natures, people. professor Chun Kyoung-su and companions come into Sor village, the old center of Biak and learn their way of life.
학술적 목적으로 기록된 파푸아 비악 섬의 모습을 거울 삼아 나와 우리의 모습을 비추어본다.
Mirror ourselves through other culture.
망명의 춤
2015년 영덕에서는 주민들의 반대를 무시한 채 핵발전소건설계획이 수립되었 고 우리는 무작정 우리가 잃게 될지도 모를 영덕 강구항 주변의 바다를 카메라 에 담아왔다. 이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리기 위해 영상과 낭독의 형태로 시작 해 시와 춤, 음악과 영상이 함께 상호작용하는 다원예술퍼포먼스로 발전시켰 다. 그 사이 서울에서도 제주에서도 사람들은 내쫓기고 터전을 잃어갔다. 그 곳 들에 연대하며, 그 공간과 사람들 하나하나를 마음에 담아 우리의 공연에 반영 해왔다. 몸의 움직임은 공간과 마음의 움직임이 되었고 그 기록은 다름아닌 대 망명의 일지가 되었다.
핵발전소가 들어 설 영덕바다와 지금 이 시간에도 부서지고 쫓겨나고 있는 망 명 현장들의 얼굴과 목소리가 연결되길 바란다. 공연 ‘망명바다’는 한 공간 안 에서 말과 몸과 이미지로 시가 낭독되는 퍼포먼스로, 매 공연마다 낭독되 는 시 와 함께 음악과 춤 등으로 관객들의 참여형식이 조금씩 달라져왔다. 11번의 공 연동안 보여지는 움직임은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했다. 그 반복과 차이를 살펴 보는 과정에서 연대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나는 평범한 20대이다. 내가 ‘마석’에 사는 ‘이주여성’이라는 사실만 빼면 말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이제까지 쭈욱 이곳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았다. 나는 내 이름으로 불리기 보다는 이주 아동에서 이주 청소년을 거쳐 현재는 이주 청년 혹은 이주 여성으로 불린다.오랫동안 알고 지낸 동네에서 유일한 또래친구 ‘로빈’은 갑자기 강제출국을 당했다. 놀기 좋아하고 요즘 부쩍 키가 커버린 남동생은 집에 들어오기 싫어한다.
< 박강아름의 가장무도회 > 예고편
누군가를 만나 연애를 하고 싶은 아름. 그러나 소개팅은 오늘도 실패다. 친구들은 그에게 조언한다. 너는 너를 사랑하지 않아! 너는 너를 꾸미려고 하지 않아! 정말로 내가 사랑받지 못하는 이유가 내가 예쁘지 않아서일까?
Trailer AREUM
Could I be loved if I become prettier? A story that we all can’t avoid.
고등학교 예술강사이자 영화감독인 박강아름은 모태솔로다. 십대 제자들과 대 학원 동료들은 그가 번번이 소개팅에 실패하는 이유가 그의 외모 때문이라고 입을 모아 충고한다. 그가 예쁘지 않은데다가 꾸미려고 하지도 않기 때문이란 다. 그는 사람들이 말하는 여성적인 외모를 갖기 위해 다이어트에 돌입하고 겉 모습을 바꿔보려 한다. 하지만 여전히 소개팅에 실패한다. 누군가를 만나 사랑 받으면 외로움이 줄어들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한 일들이었다. 하지만 이제 그 는 자기 자신에게서도 멀어지고 있음을 깨닫는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그는 대답을 찾기 위해 카메라의 시선을 자기에게 돌린다. 그는 사회가 요구하 는 여성성의 코스튬을 걸치고 자신과 주변을 관찰하는 실험을 시작한다. 이 실 험은 어떤 결론에 다다를까.
AREUM PARKKANG, a high school art teacher and film director, has never had any romantic relationships. Her teenager students and colleagues at graduate school say that the reason she fails in every blind date is because of her appearance. They say even though she was not born with a pretty appearance, she has never made enough effort to make herself up. In order to have the so-called 'feminine appearance’ she tries to lose weight. However she fails again on a blind date. She started these things in hopes that her loneliness would decrease if she was loved by someone. But rather she finds out that she was getting further apart from herself. What went wrong?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is, she turns the camera to herself. She begins to make an experiment to observe the society, the neighborhoods, and herself by wearing the costume of femininity our society expects. What conclusion will this experiment lead to?
박강아름, 그녀에게 외모 지상주의란 조소의 대상이면서도 동시에 반성의 대상 이다. 그녀는 외모 지상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여전히 타인의 시선 앞에서 전혀 자유로워지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 영화는 사회가 요 구하는 미의 기준을 불편하고 부당하게 여기는 그녀에게마저 그것이 내면화되 어 있는 것을 스스로 깨닫는 과정이기도 하다. 개인은 누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 외모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은 이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화 속 그녀의 실험이 외모 지상주의에 대한 사실적이고도 현실적인 보고이기를 바란다.
To AREUM, lookism is a subject to be laughed at, as well as it is also a subject of self- reflexion. She always has critical attitude on lookism, but she never sets herself free from other people’s eyes. This film, is also a procedure to self-realise the internalised lookism, even for the director, AREUM PARKKANG, who feels such beauty the society expects on women to be uncomfortable and unjust. Who makes an individual? We think the critic against lookism should begin with this question. We hope this performance is a realistic and practical report on lookism.